한계가구라는 것은,
가구의 소득 대비하여, 대출에 대한 이자 혹은 이자와원금을 매월 납부하고 나면 생활이 어려운 가구를 가르키고,
또한, 이자율이 상승하게 되면, 더이상 소득으로 채무를 감당할 수 없어, 경매 등 강제적인 방법으로 채무를 변제해야 하는 상황에 있는 가구를 말합니다.
미국발 금리상승과 미국과 중국의 무역 전쟁 등,
수출을 위주로 하는 우리나라에 안 좋은 소식이 들려오고,
국제적으로 금융이 맞물려 있는 지금 같은 상황에서, 상대적으로 재정이 약한 우리나라가,
미국의 금리에 거슬러 버틸 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으로 떠오르고 있죠.
>>>>>> 미국이 금리 인상하면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치는 이유... >>>>>>
금리 관계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위의 링크를 따라가시면 보실 수 있어요.
그럼 다 아신다고 생각하고,
따라서, 최근 한계가구와 그의 가계부채에 대한 우려가 여기저기서 나오고 있습니다.
일부 네티즌 들은 그것이 강건너 불구경 인듯 비아냥 거리는데요.
그게 과연 강건너 불구경일까 하는 부분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려구요.
한계가구가 150만이라고 가정하구요. 평균 구성원을 2명으로 보아,
그 가구와 연관되어 있는 인구수를 대략적으로 300만으로 추산해 보겠습니다.
금리가 인상하여, 채무에 대해서 상환하지 못하면,
이들은 파산하고, 이들이 가지고 있는 물건은 경매 등 사회에 쏟아져 나옵니다.
여기서 문제가 생기기 시작합니다.
이정도의 물건이 동시에 쏟아져 나오면, 낙찰가율은 말할 것도 없이 그 인근의 부동산가격의 폭락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아파트의 낙찰가율이 50% 왔다 갔다 한다면, 그 아파트의 거래 가격이 유지되기 힘듭니다.)
이 150만의 한계가구를 떠나서, 아파트의 가격이 하락하게 되면, 다시 100~200만원 한계가구가 도래할 것입니다.
자본잠식상태,
아파트를 팔아서 빛을 모두 청산 할 수 없는 상황이 오면,
도덕적 헤이가 발생할 우려가 있고, 일부 파산해 버릴 것입니다.
그렇게 되면, 미국의 서브프라임의 전조를 보는 것 같은데요,
여기서, 가장 문제가 은행권들의 재정상태가 나빠지는 것이죠,
당연히 은행에서는 돈 빌려주고, 이자 받고, 원금 받고 해야 운영이 됩니다.
다 파산하고, 경매에서 팔아도 원금회수도 안되면, 점점 재정이 악화될 수 밖에 없고,
그러면,
국가의 공적자금이 들어가지 않을 수 없습니다.
(은행이 넘어지면, 그 와 관련되어 있던 기업들, 등등 다 넘어진다고 볼수 있기 때문이죠)
물론, 선별하고, 구조조정, 재무조정 등 하면서,
살릴것 묻을 것, 합칠 것 고르겠지만,
어쨌던 공적자금 넣지 않을 수 없을 것입니다.
그러면요??
세금요?? 인플레이션?? 미국이라는 나라도 휘청하게 만들었던 상황이죠.
너네 투자하다가 망했으니 잘 됐어~ 다 망해 나 상관없어~
지금 이런 상황이 아니라는 것이죠.
연착륙하서, 한계가구 최소화 시키고, 지본적으로 부동산 가격 안정시키고,
(급락시키는 것은 무척 위험해 질 수 있습니다)
해야, 우리나라가 그래도 굴러갈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냥, 너무 안일하게 상황을 보고 있는 것 같아서, 몇자 적어봅니다~
'시사_상식 ' 카테고리의 다른 글
TV 무료 다시보기 사이트 소개해요. (1) | 2018.06.26 |
---|---|
상가임대차 계약갱신청구 기간 10년이면 임차인 보호된다고? (0) | 2018.06.25 |
달라지는 건강보험료 제동, 국민건강보험 페이지는 아직 준비중이네요. (0) | 2018.06.20 |
한국당 의원들 정말 박근혜부터 나라의 정치적 발전에 공헌해줘서 감사합니다. (0) | 2018.06.18 |
[러시아 월드컵] 우리가 스웨덴에 무조건 이겨야 하는 이유. (0) | 2018.06.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