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씨가 선거용으로 추진하다가, 김해공항 확장으로 결론난 부산의 공항에 대한 이슈가,

오거돈시장이 당선되면서, 다시 부활하기에 이르렀습니다.



오거돈 시장의 서남부 지역의 공약을 대략적으로 살펴보면, 

북항지역의 재개발(붉은새부분)과 가덕도 신공항(보라색부분) 그리고 공항대교(푸른색부분)이렇게 이야기 될 수 있겠습니다.

 

하지만, 처음으로 시작하고 공감을 얻어야할 가덕도 신공항 부분에서 부터, 여당으로부터도 지지를 받지 못하는 상황에 처해 있는것 처럼 보입니다. 

일단, 국토부에서는 가덕도 공항에 대해서 검토하고 있지 않다고, 단칼에 잘라서 말했는데요.

불과 몇년전에 반대편에서 김해공항확장으로 결론지었던 이야기를 부산을 집권하면서 다시 끄집고 나오기가 민망한 부분도 있어 보입니다.


김해공항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

소음문제와 안정성문제를 부각시켜, 가덕도 공항의 합리성을 올리겠다는 전략을 취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주변 지차체에서 적극적인 지지를 받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가능할까 생각되는 부분도 있구요.


북항의 재개발 부분이나, 폐철로개선사업 같은 경우, 국토부의 재생산업에 기대어 간다는 생각인데, 

국토부와도 너무 날을 새우는 것도 힘들어 보이는 시점입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남은 것이 부산시민의 지지를 받는 것이라고 생각되는데요.

오거돈 시장이 압도적으로 당선된 것이 부산시민의 가덕도신공항이 지지를 받았다고 보기는 너무 확대해석하는 부분이 있어보이기는 합니다.

(기본적으로, 여당에 대한 지지가 높았고, 부울경 벨트가 만들어 진 만큼, 사업에는 신중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부산시민의 지지름 받는 부분에 있어서,

이 부분에 대한 보다 명확한 해명이 다시한번 필요하다고 생각이 듭니다.

물론, 선거과정에서 나온 네거티브라고 믿고 있지만,


집권여당과 국토부와 대구시의 반대는 그렇다고 치더라도, 경남과 울산에서 지지를 받지 못하는 신공항을

오거돈 시장만 유일하게 혹은 무리하게 밀어부칠려면, 이 의혹을 깨끗이 해야 시민의 온전한 지지로 사업을 시작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환경적인 측면, 경제적인 측면을 모두 고려해서, 부산이 다시 도약할 수 있는 투자를 아끼지 말아야 할 때라는 생각에 동감하지만,

그 모든 측면의 디테일이 가덕도 신공항에 향해 있는지의 명확한 해석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