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살고 있는 집은 모두 다른 지번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모두 집의 모양도 땅의 모양도 다르죠.
그리고,
어떤 땅은 크고 또 어떤 땅은 작습니다.
어떤땅은 정사각형의 모양을 띄고 또 어떤 땅은 삼각형의 모양을 하고 있죠??
왜 땅 모양이 이렇게 다를까요??
" 땅 모양을 바꿔요! (합필지, 분필지) " |
토지는 필요에 따라서, 둘개의 땅을 하나의 땅으로 만들수도 있고,
또, 하나의 땅을 둘로 나눌 수도 있습니다.
지번을 살펴보면, 9-3라고 되어 있으면,
9-2번지에서 분필지 되었거나 9번지에서 분필지 되었을 것입니다.
9-2번지도 있고, 9-3번지도 존재하고 있는 상태이면,
9-2번지가 분필지 된다면, 다시 9-21번지와 9-22번지로 분필지 되겠습니다.
그러데, 땅투자 하는데 합필지 분필지가 왜 필요하냐구요??
굉장히 굉장하게 필요합니다.
항상 주장하는 것이지만,
" 부동산은 규칙없는 게임입니다. 창의적인 사람이 성공하는 분야이구요 "
위의 그림을 참고해 볼께요,
B부지는 A나 F보다 땅 가격이 낮을 것입니다.
(쉽게 설명하기 위해서 단순히 도식화 했습니다.)
A, C나 혹은F의 토지 소유자는 B를 매입하여 합필지 함으로써, B토지에 대한 평당 상승률에 대한 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B토지 소유자 또한 A,C 그리고F의 토지를 매입함으로써 B토지에 대한 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B 토지는 맹지(도로를 접하고 있지 않는 토지)로써,
건축의 제한이 있으며, 접근성이 떨어져 선호하지 않는 부지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A, C 그리고 F부지의 경우 도로에 접하고 있어,
B와 합필지 하는 경우, B역시 도로를 접하고 있는 부지화 되기 때문입니다.
이에, B는 평단가는 합지된 부지의 평당가격이나 혹은 근접한 가격으로 상승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임야나, 농촌의 부지의 경우,
맹지가 많이 있고, 이런 지역의 경우, 건물이 모두 건축되어 있지 않고 관습상 도로등을 이용하여 맹지에 대한 단점이 발견하지 못합니다.
하지만, 맹지의 경우 통행에 대한 제한이 강제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런 부지에서, 도로의 인접도를 잘 활용한다면, 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같은 방법으로 부지 E와 G와 K의 관계에 대해서 볼께요,
세 부지 모두 도로에 접해 있습니다.
E의 경우에는 좁은 길을 통해서 접근이 가능하여, 맹지는 아니지만, 접근성이 낮습니다.
그리고 G와 K의 경우는 부지의 모양 때문에 건축에 제한을 받습니다.
E역시 G나 K에 의해서 합필지 되면, 토지의 가치를 서로 높일 수 있는 위치에 있습니다.
G나 K는 E와의 합필질을 통해서, 토지 모양의 단접을 보완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면, 분필지는 언제 필요한가요???
위의 그림을 참조해 봅시다.
처음에서 B와F가 합필지 되고, E와G가 합필지 되었다고 가정합니다.
이로써, B는 맹지의 결점을 극복하고, E는 접근성의 단점을 G는 토지 모양의 단점을 극복하고, 토지가 상승을 성공시켰습니다.
하지만,
토지의 규모가 너무 크면, 수요는 줄고, 따라서 거래는 힘들게 됩니다.
또한, 수요의 감소는 거래가의 감소로 이어집니다.
분필지는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가, 나, 다, 라로 분필지 하게 됩니다.
이렇게 분필지된 부지는 토지의 사이즈를 유지하면서도,
본질적인 단점을 해소함으로써, 전반적인 토지가의 상승을 이루었습니다.
위의 방법을 토지 투자에 응용해 보세요~
위의 내용이 흥미로우셨다면, 과감하게 공감 한번 클릭 부탁드립니다.
여러분의 공감 한번이 글쓴이를 춤추게 합니다.
감사합니다~
'Real Estate Section > 부동산의 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택임대차 이해하기 (민법에 근거하여) (0) | 2018.06.15 |
---|---|
다운계약과 업계약이 뭐고, 왜하는 거냐구요?? (0) | 2018.06.10 |
공시지가가 뭐죠?? 표준지공시지가 및 개별공시지가를 비교하면서... (0) | 2018.06.09 |
아파트의 매매가와 전세가와 부동산 시장의 전망 (0) | 2018.06.08 |
소유권이전등기 셀프로 작정하기 (0) | 2018.06.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