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에 대해서, 이렇쿵 저렇쿵 이야기 하다보면,
항상 받는 질문이 있습니다.
" 그럼 부동산 공부는 어디서 어떻게 시작해야 하나요?? "
혹은,
" 그럼 어떤 책을 읽는 것으로 공부를 시작해야 할까요?? "
부동산 공부를 시작한다고 하다가 그저 쉽게 흥미를 잃어버리는 분들을 보면,
그 흥미를 잃어 버리는 이유가 몇가지 보입니다.
그중에 가장 큰 하나는, 쉽게 경험해 볼 수 없다는 것이었습니다.
부동산 공부를 하고, 경험을 해 볼려니 돈이 한두푼 들어가는 것이 아니어서,
시험삼아 혹은 경험삼아 해 볼 수 없고,
그러다 보니, 책으로만 접하게 되고, 또 그러다 보니 흥미를 곧 잃어버리게 되는 것 같습니다.
또 다른 이유 중 하나는,
하면 할 수록, 어려운 용어나 경제계념이 자꾸 나와서,
하나하나 풀이하면서 알아가자니, 너무 복잡해 져서,
" 아 이건 혼자 공부할 수 있는게 아니구나 "하고 곧 포기해 버리는 경우입니다.
뭐 개인적으로 많은 다른 이유들이 있겠지만, 이런 이유들이 부동산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고,
이렇게 관심이 많은데도 불구하고 실제로 뛰어드는 사람들을 제한하는 이유인 것 같습니다.
자, 그럼 정말 부동산 공부는 어떻게 시작해야 할까요??
"공부"를 빼는 것으로부터 시작해야 합니다 라고 종종 조언합니다.
공부라구요??
전 스마트폰을 예로 들어서 물어보는 분들에게 이야기 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일정 나이가 넘으신 분들은 새로운 기기를 접할 때 마다 어려워 하십니다. 그리고, 말씀들 하시죠. 공부해야 한다고,
하지만, 아이들은 그냥 "이용"하는데 그 즐거움을 느낍니다.
두 그룹중에 누가 더 스마트폰을 잘 활용하냐구요?? 물어서 무엇하겠습니까??
아이들은, 스마트폰을 사용하면서 주어진 기능을 이용합니다.
그리고, 그 기능은 유져(사용자) 편의로 만들어진 기능이니 편하게 사용하는게 맞습니다.
그리고, 스마트폰에 회로가 어떻게 되어 있는지 운영체제가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반도체는 무슨역활을 하는지 궁궁해 하지 않고,
알 수도 없는 것이죠.
그냥 스마트폰을 잘 사용하는 것입니다.
부동산도 마찬가지 입니다.
누구에게나 일상의 일부분이고, 누구나 부동산에 살면서 부동산에서 활동합니다.
너무도 잘 아는 공간이고, 너무나 익숙한 물건입니다.
그래서 더 익숙하지 않은 것처럼 보입니다.
"분명히 잘 아는 것인데 전문가(?)라고 말하는 특정한 사람들과 이야기 해보면 무슨말인지 모르겠어요"
당연하죠. 그들은 이야기 하는 상대방이 잘 모르기를 바라면서 이야기 하는 것이니깐요.
내가 원하는 부동산은 다른 사람도 원하고, 내가 원하지 않는 부동산은 다른사람도 원하지 않습니다.
내가 원하지 않는 부동산이었는데, 부동산 전문가가 이야기 한다고 원하는 부동산으로 바뀌지 않으니깐요.
단순하고, 쉬운 논리죠.
그럼 아무것도 하지말고, 느낌으로 하면 되냐구요??
아니요.!! 이건 정확하게 말할 수 있습니다.
전 "관심"을 가지라고 말하고 싶습니다.
애들이 스마트폰을 그냥 쓰듯이, 그냥 관심을 가지세요. 요즘 우리동네 집값은 어떻고, 가게 세는 어떻게,
유리창에 붙어 있는 플랭카드에 전화해서 가격도 물어보고,
비싸네, 싸네 판단도 해보구요.
그리고, 신문도 보고, 잡지도 보고,
광고지도 찬찬히 살펴보세요.
그럼, 언제부턴가 우리동네 시세를 떠나서, 부동산에 대해서 점점 해박해 지고 있는걸 느끼지 못하는 사이에 느끼게 됩니다. ㅎ
(말이 좀 안되나요??)
부동산을 가장 잘 하는 방법은,
사람들을 두려워 하지 않은 것이에요, 물어보고, 다가가고, 상담하고,
가장 좋은건 뭔지 아세요~?
이게 모두 무료라는 것이죠.
부동산은 대인관계와 약간은 관련이 있어 보이기는 하지만, 또 100%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Real Estate Section > 부동산의 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대차 계약서 작성 하기 및 유의사항 (직접계약하기) (0) | 2018.06.19 |
---|---|
이제 준비 되셨으면, 계약하기 들어갑니다. 주택임대차 계약에서 유의사항 (0) | 2018.06.19 |
주택임대차보호법으로 보호받기 (0) | 2018.06.18 |
주택임대차 이해하기 (주택임대차보호법에 근거하여) (0) | 2018.06.17 |
주택임대차 이해하기 (민법에 근거하여) (0) | 2018.06.15 |